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정보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총정리

by newchance 2022. 5. 20.
반응형

새 정부가 출범한 5월 10일부터 양도소득세가 대폭 완화되었습니다. 지난 5월 9일 기획재정부는 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통해서 다주택 양도세 중과를 1년간 배제하고 다주택자가 주택을 양도하여 1 주택자가 된 경우에 주택 양도세 비과세를 1 주택이 된 시점부터 다시 계산하는 제도를 폐지하는 내용입니다.

 

다주택자_양도세_중과유예

양도소득세 중과세 유예( 1년간 한시배제 )

현재 양도소득세의 기본세율은 6~45%이며 조정대상지역에서 주택을 양도할 경우 2주택자는 추가 세율 20%, 3 주택자는 30%가 기본세율에 더해집니다. 2023년 5월 9일까지는 기본세율에 대해서만 부과하며 장기보유 특별공제도 적용한다는 내용입니다. 

 

대상지역 주택수 양도세 중과배제 적용시(1년간)
조정대상지역 2주택 기본세율(6~45%)+20%
장기보유 특별공제 불가
기본세율(6~45%)
장기보유 특별공제 불가
3주택이상 기본세율(6~45%)+30%
장기보유 특별공제 불가
기본세율(6~45%)
장기보유 특별공제 가능

 

주택수에 따라 기본세율에서 추가로 20~30%가 더해져 최대 75%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하여 매도를 망설였던 다주택자들에게 1년 간이지만 양도소득세 중과를 유예를 한다는 건 좋은 소식입니다.

주택보유기간 과세표준 기본세율
1년미만   70%
2년미만   60%
2년이상 1,200만원 이하 6%
~4,600만원 이하 15%
~8,800만원 이하 24%
~1억 5,000만원 이하 35%
~3억원 이하 38%
~5억원 이하 40%
~10억원 이하 42%
~10억원 초과 45%

다만 주택보유기간이 2년 미만일 경우에는 중과 배제 혜택이 적용이 안됩니다. 현행법상 2년 미만 주택 양도 시 세율을 60~70% 까지 적용하도록 되어있기에 소득세법 개정 없이는 2년 미만 보유주택의 중과 배제는 어렵습니다.

 

양도세 비과세 보유.거주기간 재기산 제도 폐지

기존에는 1가구 1주택자의 보유기간을 재기 산하기에 다주택자의 경우 1 주택만 남기고 모두 양도하여 1 주택이 된 시점부터 비과세를 위한 보유. 거주기간을 다시 산정하였는데 이번 개정안을 통해서 주택수와 상관없이 양도되는 주택의 실제 보유. 거주기간을 기준으로 비과세를 적용합니다.

 

예를 들면 2주택자가 주택 1채를 양도하고 바로 나머지 1 주택도 양도하더라도 2년의 보유. 거주 요건만 갖추면 바로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조정대상지역 내 일시적 2주택 요건 완화

 

기존에는 일시적 2주 택일 경우 종전주택과 신규주택 모두 조정대상지역에 소재 시 종전주택은 신규주택 취득일로부터 1년 이내 양도해야 하며 가구원 전원이 신규주택으로 전입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었으나 신규주택 취득 후 2년 이내 양도로 완화하고 가구원 전원 신규주택 전입 요건이 삭제되었습니다.

 

현행 개정안
신규주택 취득 1년이내 종전주택 양도 신규주택 취득 2년이내 종전주택 양도
가구원 전원 신규주택 전입 가구원 전원 신규주택 전입 필요없음

 

반응형

댓글